티스토리 뷰
이번 글의 목적은 단순 요약 및 용어 이해에 있다.
원래는 인용된 논문까지 파고 들어가면서 봐야하는데, 간단히 전체적인 구조만 이해하고 싶었기 때문에 간단히 정리한다.
Stephen Green, Darren Southee & John Boult (2014) Towards a Design Process Ontology, The Design Journal, 17:4, 515-537, DOI: 10.2752/175630614X14056185480032
용어정리
Ontology
개념화의 명세(specification of a conceptualization) 또는 존재에 대한 철학적 연구(the philosophical study of being)이다.
풀어서 설명하자면 하나의 도메인 내에서 표현할 수 있는 객체 집합과 그 객체 사이의 관계를 언어로 정의내리고, 의미와 올바른 사용에 대해 서술한 것이다.
Agent의 action이 온톨로지의 정의와 일치할 때, agent가 ontology를 수행(commit)했다고 표현한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고 있는 Ontology 개발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사람들과 시스템 agent간의 정보 구조에 대한 공통적인 이해를 공유하기 위해서
- 도메인 지식을 재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 도메인 가정을 명확하게 만들기 위해서
- 운영을 위한 지식과 도메인 지식을 분리하기 위해서
- 도메인 지식을 분석하기 위해서
Ontology의 기본적인 기준 역시 연구되어 왔다.
- Clarity: 객관적인 terminology를 사용해야 한다.
- Coherence: 요소 간의 관계나 참조가 논리적이고 일관적이어야 한다.
- Extendibility: 연속적인 확장이 가능해야 한다.
- Minimal encoding bias: encoding을 위한 추상적이거나 제한적인 컨셉의 사용을 줄여야 한다.
- Minimal ontological commitment: 가장 기초적인 수준에서는 ontology가 너무 복잡해서는 안된다.
Design impact
design input의 결과 값에 대한 설명
(e.g. Return on Investment)
input-process-output(IPO) model에서의 design output의 일부
+
- the four-stage Double Diamond model
- NDP Stage-Gate process
- Development Funnel
Goal
- 잠재적인 design impact를 효과적으로 식별하고, 소통하는 것
- design process의 IPO model에서 더 포괄적인 범위의 요소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개선 - design process model의 추상 과정에서 디자인의 복잡성에 대한 요소를 간과한 것은 아닌지 고려하는 것.
Main arguments
Design impact에 영향을 주는 factor들은 무엇인가?
Design process를 정의하는 것에 대한 다양한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e.g. 기존의 연구된 모델들이 design impact에 영향을 주는 모든 factor를 반영하지 못한다.
- 좋은 디자이너를 정의하는 것에 대한 이슈
- 디자이너와 고객, end user의 관계에 대한 이슈
- 디자인 직업의 지속가능성과 구조에 대한 이슈
다음은 기존 모델과 메트릭에 대한 요약이다.
- 여러 컨텍스트 내에서 디자인이 작동하는 방식을 인식해야 한다.
- 가치 제안, 가치 사슬 등의 요소로서의 디자인은 design impact을 이끈다.
- Design process는 가치 창출의 핵심이며, 기존의 경제적 가치 개념을 넘어서 확장된다.
- 많은 연구들이 경제적 부가가치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적, 환경적 부가가치 요소 또한 design impact에 대한완전한 이해로 통합되어야 한다.
- design impact에 대한 운영적인 분석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모델과 메트릭이 많다. 하지만, 실무까지의 계층적으로 개선 할 수 있는 범위가 상당하다.
- Design impact를 이해하기 위해서 모델과 메트릭을 intput-process-output-impact과 관련짓는 것이 기본적인 디자인 활동을 구분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Ontology 설계
- Ontology의 도메인과 범위를 정한다.
- design research-based: 존재하는 design process model 또는 방법론이 이 ontology에 얼마나 잘 맞는가?
- professional practice-based: 구체적인 design project 또는 기관에서의 디자인 일반 실무와 어떻게 연관되는가?
- usefulness to predicting design impact: ontology가 디자인 실무에서의 impact를 결정할 수 있는 요소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가?
- 이미 존재하는 ontology를 재사용 가능한지 확인한다.
- Key terminology를 식별한다.
- class와 class의 계층을 정의한다.
참고자료
(1) KATIE MOON AND DEBORAH BLACKMAN, A Guide to Understanding Social Science Research for Natural Scientists (2014)
(2) www-ksl.stanford.edu/kst/what-is-an-ontology.html
- SIGGRAPH
- lalaland
- 전월세대출
- SanDiego
- Sustainability
- 청년전세대출
- 미국
- santa barbara
- LA
- 게티
- 성격특성
- 학회
- 성격의 탄생
- 그리니치
- san diego
- 카카오뱅크
- 일상
- 부
- Irvine
- 라라랜드
- San Francisco
- 신한은행
- 성격심리학
- 페미니즘
- 인생의발견
- 성차별
- 여행
- MOCA
- 연구방법론
- 인생의 발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