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회사와 팀, 제품의 역사 알기

우선, 회사의 기본적인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뤄지는지를 파악해야 그것에 맞춰 내가 원하는 바를 설득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크게 제품이 개발되는 과정과 팀의 업무 수행 과정, 그리고 회사가 다음 전략을 선정하는 과정이 궁금했다.

먼저, 제품이 제작된 과정을 알고자 불편하거나 좋게 디자인되었다고 생각하는 기능들이 왜 그렇게 디자인되었는지 질문했다. 그로부터 제품과 관련된 정책, 현재 팀에서 주로 확인하는 지표와 진행했던 실험 결과들을 공유받을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팀에서 현재 수행하는 프로젝트를 언제 배정하는지, 그 우선순위를 어떻게 결정했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팀이 다음 분기에 수행할 프로젝트에 대해 예측할 수 있으며 눈 앞에 닥친 문제와 시장 상황을 이해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회사의 이전 목표와 현재 설정한 비전을 확인했다. 회사 전체의 지표에서 내가 속한 팀은 무엇을 기여해야하며, 앞으로는 어떠한 변화를 맞이할지에 대해 예측해볼 수 있었다.

이전에는 제품이 완성되는 것에만 집중했었기 때문에 사업적인 방향을 알지 못해 적절한 방향을 제안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제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뿐만 아니라 수 많은 이해관계자들의 상황과 의사결정 방식을 이해해야만 한다. 같은 기능을 제안하더라도 설득의 방식이 달라질 수 있고, 회사의 상황에 맞는 우선순위의 변경을 통해 적절한 MVP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간단한 티타임, 식사시간 동안 팀원들이 사용자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이 제품의 문제와 나아가야할 방향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한 것 같다. 팀원이 사용자를 각기 다르게 생각한다면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제품이 목표로 하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합치를 이루는 것이다. 같은 방향을 보고 있어야 동시에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또, 가벼운 대화 과정 속에서 그들의 의사소통 방식을 확인해서 적합한 대응을 계획할 필요도 있다.

 

2. 내가 기여할 수 있는/기여하고 싶은 범위 내에서 팀에 도움될 수 있는 것 찾기

전체적인 커리어에서 내가 쌓아나가고 싶은 영역과 현재 내가 가지고 있는 역량을 알고 있어야 한다. 그 범위 내에서 팀의 목표에 맞게 내가 진행하고 싶은 업무를 먼저 제안한다면 회사에 기여하면서 동시에 내 커리어도 주체적으로 잡아나갈 수 있다. 회사에서 시키는 일만 하다가는 정신차렸을 때 내가 생각한 것과는 상당히 다른 영역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나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먼저 선수치는 것이 필요하다.

팀원들에게는 업무를 수행하며 어려웠던 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내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정의해서 내 업무로 가져오기 위함이다. 

 

3.  산업에 대한 이해

자칫하면 정책이나 기술적 제약에 걸리거나 타사에서 이미 경험했던 문제를 반복하는 기능을 제안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먼저 기존 산업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타 경쟁사가 선택했던 결정과 그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고, 현재 그들이 현재 중점을 두는 것을 파악해야 한다. 처음부터 바로 기획서부터 작성하는 것은 설계에 대한 고민없이 코드작성부터 시작하는 개발자나 다름없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